로고

물속에서 경험한 위협적인 기후변화… 환경재단, 거제해녀들과 수중 정화활동 진행

이 준 기자 | 기사입력 2024/06/28 [09:34]

물속에서 경험한 위협적인 기후변화… 환경재단, 거제해녀들과 수중 정화활동 진행

이 준 기자 | 입력 : 2024/06/28 [09:34]

물속에서 경험한 위협적인 기후변화… 환경재단, 거제해녀아카데미 해녀들과 수중 정화활동 진행

△해조류 감소 △어종 변화 따른 수확량 감소 △포식성 어류와 위협종 출연 등 목도

환경재단, 캠페인 통해 지역 단체 지원 및 그린 임팩트 확산 노력할 것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이 ‘바다쓰담 캠페인’ 지원 단체인 거제해녀아카데미와 함께 수중 정화활동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본문이미지

 


한국 코카-콜라와 환경재단이 함께하는 ‘바다쓰담 캠페인’은 2020년부터 시작해 지난 2023년 12월까지 총 44개 팀(단체)을 지원했고, 그린리더 8084명과 268개 협력기관(학교, 지자체, 공공기관, 비영리조직 등)이 참여한 388회의 활동을 통해 약 104톤의 쓰레기를 수거했다.

거제해녀아카데미는 거제와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녀 활동가들로 구성된 단체로, 올해부터 ‘바다쓰담 캠페인’에 참여해왔다.

생업 터전인 깊은 물 속에서 쓰레기들을 목격한 후 활동가의 삶에 뛰어든 거제해녀아카데미의 해녀들은 기후변화를 △해조류 감소 △어종 변화에 따른 수확량 감소 △포식성 어류와 위협종 출연 등으로 직접 체감하고 있다.

실제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여름철 수온이 평년보다 약 1도 상승할 것이며, 남부 지방 연안 및 내만 해역에서는 평년 대비 1~1.5도 정도 높은 표층 수온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국내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톤에서 2020년대 평균 92만톤으로 계속 감소 중인 상태다.

해녀들은 수온 상승이 작업 중 체온 조절 문제는 물론 바닷속 많은 쓰레기로 인한 해양 오염이 강에 악영향을 줄까 우려하고 있다. 평소 수확하던 해산물들이 폐사하거나 크기가 줄고, 주로 채취하는 미역과 다시마가 고온으로 생육에 지장을 받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하고 있기도 하다.

환경재단의 이번 수중 정화활동에 참여한 거제해녀아카데미 소속 활동가 신영 씨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따로 있다. 인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쓰레기를 치우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게 일단 제일 좋다. 지나가는 관광객분들도 쓰레기를 치우는 걸 보고 같이 도와주곤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거제해녀아카데미 소속 활동가 박체은 씨는 “바닷가에 와서 놀고 난 후 쓰레기를 가져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바닷가에 쓰레기가 모여 있는 곳을 보면 거기가 쓰레기 배출 장소로 착각하고 버린다”며 “바닷가는 바람에 의해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기 쉬워 처리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물 속에서 직접 경험한 기후변화는 더없이 위협적”이라며 “바다에서 나는 것을 우리가 먹는다. 바다가 살아야 사람이 산다”며 모두가 깨끗한 바다를 지키는데 관심을 가져주기를 당부했다.

환경재단 진세영 PD는 “바다쓰담 캠페인을 통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성장에 기여하는 단체들을 지원함으로써 그린 임팩트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도 체계화된 쓰레기 모니터링과 분석으로 해양 쓰레기 문제를 개선하고, 일반 대중에게 쓰레기 문제 인식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다쓰담 캠페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환경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재단 소개

환경재단은 2002년 설립한 최초의 환경 전문 공익재단으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정부·기업·시민사회와 함께하는 실천공동체다. ‘그린리더가 세상을 바꿉니다’라는 슬로건을 위해 500만명의 글로벌 그린리더를 육성하고 연대해 글로벌 환경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reenfund.org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 ‘어르신 최고의 삶 도움을 주는 것이 감명 깊어요’
이전
1/10
다음